티스토리 뷰
목차
저출산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다자녀 혜택을 점점 강화하고 있습니다. 세 자녀 이상뿐만 아니라 두 자녀에게도 혜택이 강화되는 만큼 해당이 되시면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. 본문에서 2025년 다자녀가구 혜택 강화 (다둥이 국가지원금)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.
다자녀가구 혜택
정부에서는 장기간 이어지는 저출산 대책으로 일.가정 양립, 양육, 주거 등 3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혜택을 강화하여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.
또한 세 자녀 이상뿐만 아니라 두 자녀도 다둥이 가족으로 포함해서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 첫 만남 이용권, 산후조리도우미, 아이돌봄서비스, 세액공제, 자동차 취득세 감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.
다자녀가구 혜택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2025 다자녀가구 혜택 강화
1. 첫만남 이용권
기존에는 둘째 자녀 이상인 경우 첫 만남 이용권으로 200만원을 지급했지만 향후에는 300만원으로 상향됩니다.
✅ 첫째 : 200만원
✅ 둘째부터 : 300만원 (기존 200만원)
2. 산후조리도우미
다둥이 가정을 위해 최대 4명까지 지원합니다. 출산 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해 임산부와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돕습니다. 기간도 기존 최장 25일에서 40일로 연장됩니다.
✅ 파견 인원 : 최대 4명
✅ 기간 : 최장 40일 (기존 25일)
3. 아이돌봄 서비스
아이돌봄 서비스는 12세 미만의 아이를 돌볼 사람이 없는 가정에 아이돌보미가 찾아가는 서비스로 다자녀 가구에게 우선 이용권을 줍니다.
✅ 우선 지원 : 12세 미만 자녀 셋 이상 또는 36개월 이하 자녀 둘 이상
✅ 추가 지원 : 2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 월평균 소득이 중위소득 150% 이하일 경우 본인부담금 10% 추가 지원
4. 세액공제
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녀 1명은 15만원, 자녀 2명은 35만원, 자녀 3명 이상인 경우에는 35만원과 2명을 초과하는 1명당 30만원씩을 합친 금액을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자녀 1명 : 15만원
✅ 자녀 2명 : 35만원
✅ 자녀 3명 이상 : 35만원 + 셋째부터 1명당 30만원씩
5. 자동차 취득세 감면
기존 18세 미만의 자녀를 3명이상 양육 시 혜택을 주던 것이 2명 이상으로 확대됩니다
✅ 감면대상 : 2자녀 이상 (기존 3자녀)
6. K패스 할인 신설
대중교통 이용 시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는 K패스가 다자녀 가구에 한해 할인율을 더 높여 줍니다. 기존 20%에서 2자녀인 경우 30%, 3자녀인 경우 50%까지 할인 혜택을 줍니다.
✅ 2자녀 : 30% 할인 (기본 20%)
✅ 3자녀 이상 : 50% 할인
K패스 신청 및 발급 관련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7. 국가장학금 확대
국가장학금이 소득인정액 1~10구간 중 1~8구간에만 지급했는데 2025년부터는 1~9구간까지 확대지원됩니다. 1~3구간은 연간 최대 570만원, 4~6구간은 420만원, 7~8구간은 350만원, 9구간은 100만원을 지급합니다.
여기에 다자녀 가구를 위한 혜택이 더해집니다. 9구간 중 3자녀 이상은 첫째.둘째는 연간 135만원, 셋째 이상은 200만원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3자녀 이상 : 9구간 첫째.둘째 135만원, 셋째부터 200만원 지원
국가장학금 관련 상세내용은 아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8. 전기차 구매 보조금 확대
다자녀 가구의 전기차 구매보조금도 확대됩니다. 2자녀 100만원, 3자녀 200만원, 4자녀 300만원 등 자녀 수에 따라 전기차 보조금이 추가됩니다.
✅ 2자녀 : 100만원
✅ 3자녀 : 200만원
✅ 4자녀 : 300만원
9. 전기 및 가스요금 할인
주민등록표상 자녀 또는 손자녀가 3명 이상인 가구는 월 전기요금의 30%를 1만 6천원 한도 내에서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. 가스요금은 12~3월의 경우 월 1만 8천원, 그 외 기간에는 월 2,470원의 한도로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.
✅ 전기요금 : 3자녀 이상 가구 30% 할인 (월 최대 1만 6천원)
✅ 가스요금 : 3자녀 이상 동절기 월 1만 8천원, 그 외 2,470원 할인
마치며
지금까지 2025년 다자녀가구 혜택 강화 (다둥이 국가지원금)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. 서울, 부산, 인천, 대구, 광주 등 각 지자체별로도 다둥이 가족에게 여러 가지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. 다자녀가구로서 받을 수 있는 모든 혜택은 다 챙기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